고대 맥쿼리 통번역 대학원 안녕하세요.통번역 쪽으로 방향을 틀려고 하는 30대 초반 직장인 여성입니다.우선 저는
고대 맥쿼리 통번역 대학원 안녕하세요.통번역 쪽으로 방향을 틀려고 하는 30대 초반 직장인 여성입니다.우선 저는
안녕하세요.통번역 쪽으로 방향을 틀려고 하는 30대 초반 직장인 여성입니다.우선 저는 영국에서 석사를 땄지만 통번역쪽으로 방향을 틀고자 통번역쪽 대학원을 다시 알아보던 중 그나마 직장과 병행하면서 다닐 수 있는 게 고대 맥쿼리 통번역인 것 같더라고요.(수료만 생각했을때)다른곳은 우선 풀타임이 많고 입학 시험을 위한 시간도 오래 걸린다고 들었습니다.그래서 고대 맥쿼리 수료가 어느 정도 경쟁력이 있을지, 제 커리어에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고려대-맥쿼리 통번역 대학원(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SIT) 수료가 통번역 커리어에 얼마나 경쟁력이 있을지 궁금하신 것 같네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정리해드릴게요.
비학위 과정: 석사 학위가 아닌 수료 과정으로 운영됩니다.
비교적 유연한 일정: 직장인들이 병행할 수 있도록 주말 수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입학 절차가 상대적으로 수월: 국내 주요 통번역 대학원(이화, 한양, 숙명 등)보다 경쟁이 심하지 않고, 입학 시험도 덜 까다로운 편입니다.
맥쿼리대와 협업 프로그램: 호주의 맥쿼리대(Macquarie University)와 공동 운영하는 과정으로, 일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고려대-맥쿼리 과정 수료가 커리어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목표와 활용 방안에 따라 다릅니다.
통번역 실력 향상: 체계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고, 실무적 감각을 키울 수 있음.
네트워크 구축: 업계 관계자 및 교수진과의 인맥 형성 가능.
직장 병행 가능: 풀타임 대학원보다 부담이 적음.
공식 학위가 아님: 국내 주요 통번역 대학원(이화, 한양, 숙명 등)에서 제공하는 **석사 학위(MA)**와는 다르게 수료 과정이라 학위로 인정받을 수 없음.
업계 내 인지도: 국내 통번역 업계에서 고려대-맥쿼리 프로그램이 최상위 통번역 대학원 출신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지는 않음.
취업 시 우대 여부가 다름: 대형 국제기구(예: UN, WTO 등)나 주요 통번역 업체는 보통 **학위(MA, MSc)**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음.
3. 어떤 경우에 고려대-맥쿼리 통번역 과정이 적합할까?
✔ 이미 직장을 다니고 있고, 석사 학위보다는 실무적인 통번역 기술을 키우고 싶은 경우
✔ 국내 주요 대학원의 입학 경쟁이 부담스럽거나, 풀타임 대학원 진학이 어려운 경우
✔ 단순 번역보다는 프리랜서 또는 기업 내 통번역 업무를 원하는 경우
✔ 이미 다른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고, 통번역 관련 커리어 전환을 고려하는 경우
4. 커리어를 위한 대안 (통번역 대학원 vs 기타 과정)
만약 통번역 업계에서 확실한 경쟁력을 갖추고 싶다면 고려할 수 있는 다른 옵션들도 있습니다.
이화여대, 한양대, 숙명여대, 한국외대 통번역 대학원
학위가 필요하거나, 국제기구/공공기관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추천.
다만 풀타임 과정이므로 직장 병행이 어렵고, 입시 준비(통번역 시험 및 영어 능력 평가)가 필요함.
영국(바스, UCL), 미국(Middlebury, Monterey), 호주(맥쿼리)
해외 거주 또는 국제기구 통번역사를 목표로 한다면 고려할 만한 선택지.
한국외대 통번역 연수원: 학위는 없지만 실무 중심의 심화 과정 운영.
WIPO, EU 관련 통번역 과정: 국제기구 취업을 목표로 하는 경우.
✔ 고려대-맥쿼리 통번역 대학원은 직장과 병행하면서 실무적인 통번역 능력을 키우기에는 괜찮은 선택입니다.
✔ 다만 학위(MA)가 아니기 때문에, 국제기구 및 대기업 통번역 직군에서는 경쟁력이 다소 부족할 수 있음.
✔ 본인의 커리어 목표(프리랜서 vs 기업 내 통번역 vs 국제기구 취업 등)에 따라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만약 학위가 필요 없다면 실무 경험을 쌓으면서 고려대-맥쿼리 과정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