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 장기 실패 전역후 취직 직업군인 장기 안붙어서 4년 하고 전역하면 대학 안나왔을경우 24살인데 24살이면
직업군인 장기 실패 전역후 취직 직업군인 장기 안붙어서 4년 하고 전역하면 대학 안나왔을경우 24살인데 24살이면
직업군인 장기 안붙어서 4년 하고 전역하면 대학 안나왔을경우 24살인데 24살이면 그때가서 충분히 일자리 구할수 있을것 같은데 만약 대학 나오고 장기 안붙으면 28살에 전역 하고 사회에 나오면 28살인데 그땐 어떻게 해서 돈을 벌어야 할까요? 대학 나왔으니까 취직하기 쉬울까요?

직업군인(부사관)으로 4년 또는 8년 복무 후 장기복무가 불가능해 전역하는 경우, 사회에서 취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군 복무 기간별 전역 후 취업 가능성 차이
✅ ① 4년 복무 후(24살 전역, 대학 미졸업)
아직 젊기 때문에 다양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음.
군 경력(부사관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직업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유리.
대기업/공기업 등 일반 직장을 가려면 대학 졸업장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 ② 8년 복무 후(28살 전역, 대학 졸업)
대학 졸업 후 일반 기업 지원 가능성이 높아짐.
경찰, 소방, 공무원 등 군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직업으로 전환이 쉬움.
하지만 일반 기업 입사 경쟁에서 나이(28살)가 다소 불리할 수도 있음.
➡ 즉, 24살 전역자는 빠르게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고, 28살 전역자는 전공을 활용한 취업을 준비해야 유리.
2. 전역 후 현실적인 취업 루트 (전공과 관계없이 가능)
전역 후 취업할 수 있는 길을 몇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겠습니다.
군 경력이 있는 경우 경찰특채, 소방특채 시험 응시 가능
체력 시험에서 유리하며, 군 생활 경험이 강점으로 작용
군 경력이 있으면 군무원 시험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음.
특정 직군(군수, 행정, 기계, 전기 등)에서 군 복무 경험이 큰 도움이 됨.
한화, LIG넥스원,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등 방산기업에서 군 경력자를 우대하는 경우 많음.
**민간 보안·경비업체(에스원, 캡스 등)**에서 군 경험을 높게 평가.
✅ 용접·전기·기계 관련 자격증 취득 후 기술직 취업
군에서 정비, 전기, 기계 관련 보직을 했다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이 쉬움.
전기기사, 용접기능사, 기계정비기사 등의 기술 자격증이 있으면 대기업 공장·공사 현장 취업 가능.
② 일반 기업 취업 (대학 졸업 후 가능성 높음)
대기업 신입사원 채용 (나이가 변수가 될 수 있음)
공기업(코레일, LH, 한전 등)은 군 경력 우대하는 경우 많음
전공에 따라 관련 업계 취업 가능 (예: IT 전공 → 프로그래밍 직무 지원 가능)
물류관리(창고, 유통업체 등) → 군대에서 보급 관리 경험이 있으면 유리
운송·택배 관련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 군 운전병 출신이면 유리
건설/중장비 관련 (포크레인, 지게차 등) → 군에서 운전 경험이 있다면 바로 취업 가능
3. 전역 후 대학교 vs. 바로 취업, 어느 것이 유리할까?
➡ 대학을 졸업하면 취업 기회는 넓어지지만, 28살이면 신입 지원에서 나이가 많은 편이라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음.
➡ 반대로, 24살 전역자는 빠르게 기술직이나 공무원 준비를 하면 비교적 안정적인 직업을 가질 수 있음.
✅ 군 경험을 살려 경찰, 소방공무원, 군무원 준비
✅ 기술직(전기, 용접, 기계) 자격증 취득 후 취업
✅ 군 경력을 살려 방산업체, 군무원, 경찰특채 지원 가능
➡ 결론: 군 복무 경험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며, 대학 졸업 여부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짐.
1️⃣ 24살 전역 후 공무원 준비(군무원, 경찰, 소방) or 기술직 취업
2️⃣ 대학 졸업 후 28살 전역 시 대기업·공기업 취업 OR 군 경력 활용한 직업 선택
추가적인 고민이 있다면, 전역 후 취업 지원 프로그램(국방부 취업 지원센터 등)을 활용하는 것도 추천!